안드로이드: 133개의 글
[안드로이드] Intent(4) - 인텐트 플래그를 이용한 Activity 스택 관리 4. 인텐트 플래그를 이용한 Activity 스택 관리 => 사용법 : intent.setFlags(Intent.FLAG_ACTIVITY_SINGLE_TOP); ▪ FLAG_ACTIVITY_SINGLE_TOP : 호출하는 Activity가 자신을 다시 호출 할 경우, 기존의 Activity를 재활용한다. ▪ FLAG_ACTIVITY_NO_HISTORY : 설정된 Intent로 시작된 Activity B는 스택에 그 흔적을 남기지 않게 된다. ▪ FLAG_ACTIVITY_REORDER_TO_FRONT : 실행하고자 하는 Activity가 존재하면 생성대신 순서를 가장 위로 올린다. ▪ FLAG_ACTIVITY_CLEAR_..
[안드로이드] Intent(3) - 암시적 인텐트(Implicit intent) 3. 암시적 인텐트(Implicit intent)=> 명시적 인텐트와 달리 액션, 카테고리, 데이터와 같은 특징을 포함하고 있는 방식=> 암시적 인텐트는 인텐트 해석 과정이 필요=> 인텐트 조건에 맞는 컴포넌트를 찾기 위해 각 컴포넌트에 정의된 인텐트 필터를 검색 (1) 암시적 인텐트 사용예 ▪ 전화기 걸기 12Intent intent = new Intent(Intent.ACTION_DIAL, Uri.parse(“tel:010-1234-5678”)); startActivity(intent);Colored by Color Scriptercs ▪ 메일 보내기 12Intent intent = new Intent(Intent.ACT..
[안드로이드] Intent(2) - 명시적 인텐트(Explicit intent) 2. 명시적 인텐트(Explicit intent)=> 호출하거나 메시지를 보낼 대상 컴포넌트 이름을 지정하는 방식=> 주로 애플리케이션 내의 컴포넌트 호출 및 데이터 전달 시 사용=> 인텐트 필터가 정의 되어 있지 않더라도 컴포넌트를 호출 및 메시지를 전달 할 수 있음 (1) startActivity ▪ 다른 액티비티 호출//다른 액티비티 호출Intent intent = new Intent(MainActivity.this, SecondActivity.class);startActivity(intent); ▪ 다른 액티비티에 값 전달=> 거의 모든 타입에 대해 오버로딩되어 있으며 배열이나 객체까지 저장가능//다른 액티비티에 값 ..
[안드로이드] Intent(1) - 인텐트(Intent) 개요 1. Activity 간 통신 - Intent 개요: 애플리케이션 내부와 애플리케이션 간의 메시지를 전달 할 때 사용된다. : 안드로이드 기기 내의 모든 애플리케이션 컴포넌트 간의 상호작용을 할 수 있다. ▪ 명시적 인텐트(Explicit intent): 호출하거나 메시지를 보낼 대상 컴포넌트 이름을 지정하는 방식 //명시적 인텐트 예Intent intent = new Intent(MainActivity.this, SecondActivity.class);startActivity(intent); ▪ 암시적 인텐트(Implicit intent): 명시적 인텐트와 달리 액션, 카테고리, 데이터와 같은 특징을 포함하고 있는 방식 //암시적 인텐트 예..
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39404142434445464748495051525354555657585960616263646566676869707172737475767778798081828384858687888990919293949596979899100101102103104105106107108109110111112113114115116117118119120121122123124125126127128129130131132133134135136137138139140141142143144145// 웹페이지 띄우기Uri uri = Uri.parse("http://www.google.com");Intent it = new ..
[안드로이드] 프래그먼트(fragment) 예제 실습1 - 레이아웃에 의한 프래그먼트 추가(이벤트 전달) 앱의 메인화면 출력 -> activity_fragmentdemo.xml, FragmentDemo.java프래그먼트 리스트영역 -> ListFrag.java (ListFragment 클래스로 작성하기 때문에 별도의 XML 레이아웃이 필요 없음)프래그먼트 자세히보기 영역 -> DetailFrag.java, detail.xml클릭이벤트 처리를 위한 리스너 -> OnListItemSelectedListener.java 1) activity_fragmentdemo.xml - 메인화면 레이아웃 2) detail.xml - 오른쪽 프래그먼트 3) DetailFrag.java - 프래그먼트를 위한 xml 레이아웃을..
* 프래그먼트(fragment)의 특징1) activity와 lifecycle이 유사2) 여러가지 화면을 넣을 수 있는 방법을 지원3) 하나의 activity에서 다수의 fragment를 사용4) activity에서만 존재하며 단독으로 실행 될 수 없는 구조5) 다수의 fragment를 동시에 띄울 때 메모리가 문제가 될 수 있음 * fragment의 계층구조 * fragment 생명주기 1) onAttach() : 프래그먼트가 father activity에 붙을 때 호출2) onCreate() : activity에서의 onCreate()와 비슷하나, ui관련 작업을 할 수 없다.3) onCreateView() : UI 프래그먼트 초기화 (액티비티의 onCreate()와 유사)4) onActivityCr..
맨 처음 어플을 만들게 되면서 가장 먼저 생각한 것은 바로 [탭, Tabs]이었습니다무엇보다도 양옆으로 스크롤 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Fixed Tab + Scroll이 가장 마음에 들었는대요! 제가 네이버를 찾아보며 가장 설명이 잘되어 있는곳은 http://blog.naver.com/liar1938/30171663892 이라 생각됩니다그러나 모든것은 직접 써봐야 더 능통해 지므로 서평이 끝난 지금, 지금부터 어플 강좌를 하나씩 시작하겠습니다~ 이 강좌를 통해 알수 있는것들FragmentFixed Tabs + ScrollFragment에서 id값 찾기 먼저 프로젝트를 만들어 주세요 Min API 11이상부터 Fixed Tabs + Swipe라는 네비게이션 타입을 지원하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적절하게 잡아주시..
안드로이드 단말은, 에딧텍스트의 상태에 따라, 키보드의 모양이 달라지게 할 수 있지요. 비밀번호를 눌러야 한다면, 숫자키보드가 나오고 뭐, 그런 것말이죠, 이것은 editText의 inputType 속성을 적절히 지정해주면 됩니다. 이 속성에 따라서, 키보드에 표시되는 키의 종류가 달라집니다. 속성은 세가지, Class, Variation, Flag 세가지가 있고, 각 속성은 중복되어 사용가능 합니다. 중복하여 사용하려면, |로 연결하여 사용합니다. Class는 숫자, 문자, 비밀번호 등 입력문자의 종류를 지정합니다.Variation은 Class의 세부적속성이 들어가죠.Flag는 이보다 더 세부적인 속성으로, 대문자 자동변환 여러줄 입력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고 합니다. 코드에서 inputType의 속성을..
EditText에 자동 포커스 막기 및 초기 키보드 자동 실행 막기 1. EditText에 자동 포커스 막기 EditText를 실행하면 자동으로 포커스가 가는데 이를 막고자 한다면EditText이외의 view에 아래와 같은 속성을 추가한다. 일반적으로EditText 상위 view 즉 Layout에 속성을 추가할 수 있다. android:focusable="true"android:focusableInTouchMode="true" 2. EditText 사용시 초기 키보드 자동 실행 막기 EditText를 사용해 프로그래밍할 때 초기 키보드 자동 실행을 막고자 한다면마니페스트 파일에 Activity 태그에 아래 속성을 추가한다. android:windowSoftInputMode="stateAlwaysHid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