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로이드: 133개의 글
- 버튼 : 사용자가 눌럿을 때 특정 처리를 하기 위한 뷰. (1) 버튼의 이미지 위치.① drawableLeft, drawableRight, drawableTop, drawableBottom 속성 사용. (2) 버튼의 텍스트 위치.① gravity 속성 이용.② 속성에 설정할 수 있는 값은 파이프라인“|”을 사용하면 여러 개를 한번에 적용할 수 있다. (3) 버튼의 주요 속성.① background 속성 이용하여 배경 색상 설정, 배경 이미지 설정, 투명도 설정을 할 수 있다.main.xml [출처] 안드로이드 버튼의 이미지 위치/버튼의 텍스트 위치/버튼의 주요 속성.|작성자 shylove2456 출처 : http://blog.naver.com/shylove2456/150110240334
[안드로이드] AndroidManifest.xml(3) - activity, uses-permission 노드 6. activity 노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화면에 표시되는 모든 액티비티는
[안드로이드] AndroidManifest.xml(2) - uses-sdk, supports-screens, application 노드 3. uses-sdk 노드: 이 노드는 애플리케이션이 장치 위에서 적절히 동작하기 위해 반드시 만족되어야 하는 SDK의 최소, 최대, 대상 버전을 정의하는데 사용된다. minSDKVersion, maxSDKVersion, targetSDKVersion 속성을 조합해 사용하면, 장치에 설치된 플랫폼이 지원하는 SDK 버전에 기반하여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는 장치의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4. supports-screens 노드: 이노드는 향후 안드로이드 기기들이 더 큰 화면을 채용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애플리케이션이 지원할 수 있는 화면 크기와 지원할 수 없는 화..
[안드로이드] AndroidManifest.xml(1) - manifest 노드 1. AndroidManifest.xml 파일이란 ??: 애플리케이션의 구성 정보와 설정 정보를 담고 있는 애플리케이션 구성의 가장 기본이 되는 파일이다. 화면을 구성하는 액티비티를 등록하고 기기 자원을 사용 할 수 있도록 사용 권한을 설정한다. 2. manifest 노드: 애플리케이션 패키지명, 버전, SDK 버전정보 등을 설정 ▪ Package : 배포할 패키지명 정의▪ Version code : 배포할 버전 코드 정의(마켓 배포 할 때 버전을 올려서 배포한다.)▪ Version name : 배포할 버전 이름 정의▪ Shared user id : 다른 응용 프로그램과 공유할 아이디▪ Shared user label : s..
색을 지정한려면 아래의 두 개 속성을 꼭 같이 사용하여야 합니다.자신만의 divider 이미지를 사용하셔도 되고요.안드로이드에서 기본으로 지원해주는 구분선은 아래와 같이 4종류가 있습니다.android:divider="@android:drawable/divider_horizontal_bright"배경이 밝은 ListView에 사용하겠군요.android:divider="@android:drawable/divider_horizontal_dark"배경이 어두운 ListView에 사용하겠군요.android:divider="@android:drawable/divider_horizontal_dim_dark"배경이 희미하게 어두운 ListView에 사용하겠군요.android:divider="@android:drawa..
이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지 마시고 공개된 com.android.support.design을 사용하세요 안녕하세요이글에서는 몇달전에 공개된 Android L의 Floating Action Button을 구현해보도록 하겠습니다다른 프로젝트에 몇가지 소스만 넣어주면 바로 구현이 가능합니다 Floating Action Button란?말그대로 떠다니는 버튼입니다(네이버에서도 이런 버튼이 생긴 업데이트가 있었는대 비슷해 보이지는 않나요는 기분탓) 아래 Demo 스크린샷을 확인해 보시면 어떤 기능인지 아실겁니다시작하기전에이 글에 사용된 FloatingActionButton은 필자가 입맛대로 수정하고 기능을 추가/개선한 버전입니다기본 베이스는 https://github.com/makovkastar/FloatingActi..
안드로이드 리스트뷰에는 마지막 라인 구분선이 포함이 되어져 있지 않다. 리스트갯수가 적을 경우 라인구분선이 표시가 안되어서 변경해줄 필요가 생길 수 있다. 이럴때 마지막 Divider (구분선)을 추가하는 방법. [관련 링크] http://stackoverflow.com/questions/14199274/separator-divider-after-last-item-of-listview 방법은 View 를 정의해서 라인 구분선을 만들어 준 뒤.. ListView 하단에 추가하는 방법이다. /res/values/styles.xml 안에 라인 구분선 관련 스타일을 지정한다. /res/layout/ 꼼수를 사용해서 추가할 수 있다. 출처 : http://blog.naver.com/mirnae/100182825957
[안드로이드] 액션바(Actionbar) * 액션바 - 단순히 제목만을 표시하거나 간단한 정보만을 표시=> 애플리케이션과 사용자의 현재 위치 식별=> 각종 메뉴 - 탐색메뉴, 단축메뉴=> 다른 애플리케이션 사이의 내비게이션 지원 * 액션바의 출력 옵션 상수1) DISPLAY_HOME_AS_UP : 홈 아이콘에 뒤로 가기 모양의 < 아이콘을 같이 표시2) DISPLAY_SHOW_HOME : 홈 영역 활성화, 홈 아이콘 표시 여부 지정3) DISPLAY_SHOW_TITLE : 타이틀 표시4) DISPLAY_USE_LOGO : 로고 아이콘 사용5) DISPLAY_SHOW_CUSTOM : 사용자 영역 활성화 실습1 - 액션바에 버튼(액션항목) 추가: 버튼을 포함하는 XML 파일을 생성 한 후 ActionBar ..
안녕하세요. 요전번 프로젝트에서 한 화면에서 세가지의 기능을 보여주는 부분이 있었습니다. 처음엔 TabView로 구현하기로 했는데 , 위에 탭들을 보니 디자인이 너무 안이뻐서 방법을 찾아보았는데 제가 찾기론 그게 생각만큼 커스텀이 이쁘게 안되더군요. 그래서 main.xml에 세가지 기능의 레이아웃을 다 넣고 Relative로 겹쳐놓는 방법밖에 없었는데 그럼 main.xml이 너무 길고 복잡해져서 조금더 찾아봤더니 include라는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include는 레이아웃 xml에서 한 영역을 정하고 그 영역에 겹쳐서 보여줄 xml을 등록하는 기능입니다. 쉽게말해 TabView는 탭별로 액티비티가 등록되어 액티비티 호출을 하지만 include는 View를 겹쳐놓고 VISIBLE, GONE으로 제어하는..
@Override public void onBackPressed() { if(wb.getUrl().equals("메인페이지 주소 || 종료시킬 페이지")) { if (System.currentTimeMillis() > backKeyPressedTime + 2000) { Toast.makeText(getApplicationContext(), "finish?", Toast.LENGTH_SHORT).show(); backKeyPressedTime = System.currentTimeMillis(); return; } else if (System.currentTimeMillis()